본문 바로가기
정보

국민연금 납부 이력 확인 방법

by 푸른소나기 2025. 5. 8.
반응형

🗓️ 납부기간 기본 개념

구분내용
최소 납부기간 10년 이상(120개월) 되어야 연금 수령 가능
최대 인정기간 **40년(480개월)**까지 반영
연금 개시 나이 1969년생 기준: 만 65세부터 받음
조기 수령 가능 나이 조건에 따라 60세부터도 가능 (감액됨)

노인들이 꽃을보는모습

 

📌 납부기간 구성 요소

  1. 실제 납부한 기간
    직장가입자, 지역가입자로 보험료를 납부한 기간
  2. 인정 기간
    • 실업, 출산, 군복무 등 특별 사유로 납부하지 않아도 인정되는 기간
    • '추후납부'로 복원 가능 (예: 과거 미납 기간)
  3. 추납(추후납부)
    예전 미납 기간을 나중에 납부해서 납부기간으로 인정받는 제도

 


국민연금 납부 이력 확인 방법

1.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

    • 상단 메뉴에서 전자민원개인 민원가입내역 조회 클릭
    • 공동인증서(공인인증서)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
    • 본인의 총 가입기간, 납부월 수, 예상연금액 등을 확인 가능

🌟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바로가기 🌟

 

2. 모바일 앱 ‘내곁에 국민연금’

  • 📱 모바일 앱 ‘내곁에 국민연금’ 납부이력 확인 예시 안내
    1. 앱 실행 후 로그인
      • 간편인증(카카오, PASS 등) 또는 공동인증서 로그인
    2. 메인화면 메뉴에서 '가입내역' 또는 '납부내역 조회' 선택
    3. 납부월별로 총 납부개월 수, 금액, 보험료 상세 확인 가능

앱 설치는 아래 링크에서 가능합니다:

🤖 Android 앱 설치

 

🍎 iPhone 앱 설치

 

3. 정부24 사이트

  • https://www.gov.kr 접속 → ‘국민연금 가입내역 확인’ 서비스 이용
  • 공동/간편 인증 로그인 필요

✨ 정부24 바로가기 ✨

 

 

국민연금 납부국민연금 납부 서류

 

 

 

반응형